AirComix Server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는 폴더가 하나만 등록이 된다.
AirComix Server를 두 개 설치해서 해결하는 방법도 있는 듯 하지만 일단 난 모르니(…)
전제 조건
추가 하고자 하는 폴더가 기본 폴더와 동일한 volume에 있어야 한다.
1. DiskStation의 web/comix-server 폴더를 찾아 간다.(탐색기를 쓰던 ssh, telnet을 쓰던…)
2. index.php 파일을 수정한다.
설치시 MANGA_DIR의 값이 “/volume1/manga”였을 경우 $dir_name의 값으로 ‘manga’가 저장되어 있다.
echo $dir_name.”n”;
# 여기서 ”는 경우에 따라 원화표시(?) 혹은 역슬러시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
취향에 따라 아래 두 방법 중 마음에 드는 방법으로 수정한다.
$dir_name = “manga”;
$dir_name2 = “Good’;
echo $dir_name.”n”;
echo $dir_name2.”n”;
?>
echo “Goodn”;
echo “mangan”;
?>
위에 추가한 폴더의 경로는 각각
/volume1/manga
/volume1/Good
에 위치하고 있다.
comix-server 폴더의 handler.php의 17번째 줄을 보면,
라고 명시되어 있다.(설치시 MANGA_DIR의 값이 “/volume1/manga”였기 때문)
여기에 명시된 parent_path와 index.php의 나머지 경로가 합쳐져 최종 경로를 생성한다.
앞서 전제 조건에서 폴더가 위치한 volume이 같아야 된다고 했던 이유이다.
parent_path 값을 “/”로 해버리면 volume까지 다르게 설정 가능할 것도 같긴 한데…귀찮고 당장 필요 없어서 테스트 안해봄;;
3. php 설정 변경
폴더를 추가하고 나면 PHP의 open_basedir을 수정해야 한다.
3-1. ssh를 통한 수정
DiskStation>vi /usr/syno/etc/php/user-setting.ini
파일이 열리면 첫 줄에 open_basedir 항목을 볼 수 있다.
Insert 키를 눌러 수정 모드로 바꿔 제일 뒤에쯤 있을 ‘/volume1/manga’를 찾는다.
‘/manga’를 지우고 ‘/volume1’만 남긴다.
각 경로의 구분은 ‘:’으로 되어 있으니 지우지 않도록 주의!!!
esc키를 눌러 수정 모드를 벗어나고 ‘shift + : ‘키를 누른 뒤 wq를 입력하고 Enter.
3-2. DiskStation Web Manager 접속을 통한 수정
접속한다.
제어판-웹서비스-PHP 설정
하단부에 open_basedir 항목을 수정한다.
수정 법은 3-1을 참고.
적용후 빠져나옴
4. 끝. 앱으로 접속해서 Test 해본다.
덧붙임
아래와 같이 4개의 폴더를 추가 하고 싶을 경우.
/volume1/manga/Kor
/volume1/manga/Jap
/volume1/Good/Kor
/volume1/Good/Jap
index.php 파일 수정
echo “manga/Korn”;
echo “manga/Japn”;
echo “Good/Korn”;
echo “Good/Japn”;
?>
다만 AirComix 앱에서 접속시 경로명이 다 보이기 때문에 깔끔하지가 못하다…
# Troubleshooting
…